FACTS (사실 / 객관)
- 프로젝트로 시작해서 프로젝트로 끝난 주간
- 이번 프로젝트에서 팀 리더를 맡았고, 담당 업무는 아래와 같다.
- 담당 업무 : 프로젝트 스케줄링 (일정 관리), 프로젝트 노션(업무) 관리, 회의 리딩, PPT 자료 제작 및 취합, 발표 영상 촬영
- 주요 업무 내용 : 프로젝트 전반 리딩, 프로젝트 중 분석 개요 및 프로모션 성과 분석 파트 분석 및 자료 제작 담당, PPT 구성 설정 및 취합, 최종 결과물 영상 촬영
- 프로젝트 진행 과정이 매끄럽진 않았음. 금주 본격적으로 세부 주제에 대한 논의 진행 및 각 파트별 업무 분장, 분석을 월~수에 걸쳐 진행. 목요일 아침을 목표로 각자 분석 내용을 최종 공유 한 후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서 자료 제작을 시작하고자 했으나, 각 파트에 대한 방향성과 최종 결론 대한 방향성이 애매해 결국 각 파트별로 결과및 인사이트를 내기로 최종 정리. 내용 정리가 미뤄지면서 PT 제작도 지연되어 8:30에 자료 완성. 40분에 촬영 세팅. 9시 촬영 완료. 마감기한 9시에서 2분을 넘긴 9시 2분 최종 프로젝트 결과물 제출 완료함.
- 분석 과정에서의 판다스 기준으로(DF 기준) 결과물을 시뮬레이션 하고 코드를 짜는 능력이 향상됐음. 반복하는 과정에서 메소드들이 손이 익어 프로젝트 전보다는 비교적 빠르게 코드를 작성해 나갈수 있었음 ( + 구글링 효과..)
- 감기~몸살 비슷하게 와서 컨디션 회복이 쉽지 않았으나 정신력은 좋았음
- 금주 평균 3-4시 취침 하면서 부족한 시간 확보함.
FEELING (느낌 /주관)
- 파이썬 실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프로젝트를 리더를 겸하면서 개인 분석까지 진행하기가 쉽지 않았음 (시간적, 스킬적으로) 특히, 개인 분석 과정 외 프로젝트 내용 정리, 스케줄링 등 각종 제반 사항이 은근히 많아서 캠프 일정 내 온전히 분석할 시간을 확보 하기가 어려웠음.
- 그나마 1/1일 휴무가 있어서 컨디션 끌어올릴수 있었고, 덕분에 추가 분석 업무 및 PPT 개요 부분 자료 제작 진행.
- 각 세부 주제에 따라 분석한 내용들이 예상했던 최종 인사이트로 이어지지가 않아, 프로젝트 1일 전 최종 결론 및 전체 프로젝트 방향성을 수정했다. 해당 작업을 각자 분석 결과물을 공유하면서 같이 방향성을 맞춰 보고 수정했어야 하는데, 분석한 `내용`에만 집중하다보니 전체적인 방향성과 큰 흐름을 맞춰 가는 부분이 부족해 아쉬웠다.
- PT 완성 시점을 너무 타이트 하게 잡아, 결국 마감기한을 넘겨 제출하게 됐다. 2분이든 3분이든 마감기한을 넘겼고, 프로젝트 전체 일정을 담당한 나에게 책임이 있는것 같아 팀원들한테 미안하고, 아쉬운 마음이 컸다.
- 스킬적으로는, 프로젝트 전 보다는 확실히 데이터프레임을 다루고 파이썬 코드 짜는 능력이 배로 향상됐다. 이전에는 정리해둔 노션을 옆에 켜두지 않고는 코드 한줄도 작성하기 어려웠는데, 지금은 어느정도 보고싶은 데이터 / 결과물을 바로 코드로 작성해서 출력할수있게 됐다 .물론 구글링의 도움도 많이 받았고, 많이 부족하지만,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분명 많이 늘어서, 프로젝트 코드 모음에 작성해둔 코드를 보니까 뿌듯하긴했다.
FINDINGS (배운것 /얻은것)
- 부족한 실력은 시간을 배로 들여 반복하는 과정 밖에 없다.
- 제반사항등 기타 역할이 별거 아니라고 생각해도, 은근 시간이 소요된다. 혼자 하면 시간을 따로 내서 해야하지만 나눠서 하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. 유념하자.
- 프로젝트 방향성, 결론 관련 논의는 다다익선임. 개인 분석을 진행할때도 항상 전체 방향성을 생각하면서 진행해야함. 각자의 분석결과와 방향성이 전체 목표와 일치 하는지, 모두가 한가지 목표/결론을 바라보면서 분석 및 결과를 도출하고 있는지 매 회의때마다 점검할 필요가 있다.
- 모두가 다 공부를 하면서 진행하고 있고, 주어진 업무가 얼마의 시간이 소요될지 알지 못한다. 업무 시간을 설정할때, 시간을 충분히 길게 잡아야 할 필요가 있다.
FUTURE (적용점)
- 다음 프로젝트는 더더더더 어렵고, 멘붕 예정인 통계 & 머신러닝이다. 시간을 배로 쓰고, 반복의 반복의 반복을 하자. (학습주간에 학습을 full 로 해야한다. 여유부리다가 프로젝트때 민폐 끼치는 일 없게, 최대한 공부해 놓자)
- 프로젝트 관련 적용점
- 프로젝트 주제 및 목표 설정 후, 각자가 이해한 내용이 서로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함 →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자료 형태로(텍스트등)으로 공유하여 일치 여부 확인
- 개인 업무 시작전 목표와 예상 결과물을 공유한 뒤 회의시간에 결과물 공유 & 피드백하면 효율적인 회의 진행과 더불어 전체 방향성 점검이 가능할듯
- 목표 시간내 담당 업무 미 완료가 예상되는 경우 사전 공유하여 목표시간 조정 필요 (애초에 여유롭게 잡자. ex ppt 4-5시간)
'내배캠 | 데이터분석 부트캠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L | 내배캠 데이터 분석 과정 8주차 회고 (0) | 2025.01.18 |
---|---|
WIL | 내배캠 데이터 분석 과정 7주차 회고 (0) | 2025.01.12 |
WIL | 내배캠 데이터 분석 과정 5주차 회고 (1) | 2024.12.29 |
WIL | 내배캠 데이터 분석 과정 4주차 회고 (2) | 2024.12.22 |
WIL | 내배캠 데이터 분석 과정 3주차 회고 (1) | 2024.1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