📂튜플( Tuple )
- 튜플은 불변형 리스트(list) 자료형 이다.
- 리스트와 동일하게 순서는 존재 하지만, 리스트 값을 삽입/삭제/변경 이 불가하다.
# 1.리스트 표기법 : [] 대괄호 사용
a = [1,2,3,4]
print(a[0]) # 1 출력
# 2.튜플 표기법 : () 소괄호 사용
b = (1,2,3,4)
print(a[3]) # 4 출력
# 3.리스트 VS 튜플
a[0]=99
print(a[0]) # 99 반환 (리스트에서 값 변경 가능)
b[0]=99 # 에러 (리스트에서 값 변경 불가)
📂집합(Set)
- 파이썬에서 집합 개념도 사용 가능
- 집합은 자동으로 중복 제거
- 교집합/ 합집합/ 차집합 연산 가능
# 집합 기본 표기법
student_a = ['물리2','국어','수학1','음악','화학1','화학2','체육', '체육']
a_set = set(student_a) # 집합 지정 : set(인수)
print(a_set) #['물리2','국어','수학1','음악','화학1','화학2','체육'] 출력 '체육' 중복값 1개만
student_a = ['물리2','국어','수학1','음악','화학1','화학2','체육']
student_b = ['물리1','수학1','미술','화학2','체육']
a_set = set(student_a)
b_set = set(student_b)
#1. 교집합 : &
print(a_set & b_set)
#2. 합집합 : |
print(a_set | b_set)
#3. 차집합 : -
print(a_set - b_set)
📂f-string
- 리스트 /딕셔너리 값을 변수로 출력할때, 더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출력해주는 방법
# 기본 표기법 : f{변수}
scores = [
{'name':'영수','score':70},
{'name':'영희','score':65},
{'name':'기찬','score':75},
{'name':'희수','score':23},
{'name':'서경','score':99},
{'name':'미주','score':100},
{'name':'병태','score':32}
]
for s in scores:
name = s['name']
score = s['score']
print(name + '의 점수는 '+ str(score) + '입니다.') # 리스트 변수를 문자열 연결하여 출력시
print(f'{name}의 점수는 {score}입니다') # f-string 사용 시, 더 간단하게 표현 가능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| 리스트 안의 값 집계 하기 / 반복문에서 range 함수 활용 하기 (0) | 2024.11.22 |
---|---|
파이썬 | 오류 메시지 해석하기 (1) | 2024.11.22 |
파이썬 | 예외 처리(EXCEPT) / 다른 파일 값 참조 및 가져오기(FROM - IMPORT) / IF,FOR 문 한 줄로 쓰기 (삼항 연산자) (0) | 2024.11.21 |
파이썬 | 조건문(IF) / 반복문(FOR) / 함수 정의하기(DEF) (1) | 2024.11.19 |
파이썬 | 변수 / 문자열 / 슬라이싱 / List / Dictionary (0) | 2024.11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