📂문제 풀이1. 리스트안의 특정 값 카운팅 하기
▶ POINT. 반복문 & 조건문 & F-STRING 활용하기
[문제]
[문제 해석 & 풀이 ]
- 반복문 (for) 사용 : 리스트 값을 돌아가며 확인 해야함
- for 변수명 in 리스트(대상) :
- 조건문 (if) 사용 : 리스트 값과 특정 값이 같다는 조건하에 할당 해 줘야 함
- if 반복문 변수(리스트 값) 조건 : 할당조건
- f-string 사용 : str + 변수 값(int) 타입 변환없이 간단하게 연결하기
- print (f'~{변수} ~{변수} ~')
numbers = [1, 2, 3, 4, 2, 2, 5, 2]
value_to_find = 2
result=0 # 카운트 해주기 위한 변수 설정
for x in numbers: # 리스트값 돌아가며 반환
if x==value_to_find: # 해당 조건 하에
result+=1 # 반환 조건
print(f'리스트에서 {value_to_find}는 {result}회 등장합니다!') #f=string 활용
➡️ FEEDBACK
- 리스트 값을 가지고 집계 해야할 때, 0이 할당된 변수를 먼저 지정해야 함
- 서로 다른 타입을 한번에 출력해야 할때 , 대표적으로 str+int 일때 f-string 사용해서 간단하게 작성할것
📂문제 풀이2. 리스트안의 모든 값 집계 하기
▶ POINT. 반복문 & 집계 변수
[문제]
[문제 해석 & 풀이 ]
- 반복문 (for) 사용 : 리스트 값을 돌아가며 확인 후
- for 변수명 in 리스트(대상) :
- 변수에 리스트 값 집계 : 숫자형 변수 선언 후 리스트안의 값을 돌아가며 합산 해줌
- 집계 변수 =0
- for 변수명 in 리스트(대상):
- 집계변수 = 변수명 + 변수명 (집계변수 + = 변수명)
numbers = [10, 20, 30, 40, 50]
total_sum = 0 # 합산할 숫자형 변수 선언
for num in numbers: # 리스트 변수 number의 값을 돌아가면서
total_sum+=num # 값을 더해줌
print(total_sum)
➡️ FEEDBACK
- for문, if 문 사용시 행 끝에 콜론 필수
📂문제 풀이3. 팩토리얼 계산하기
▶ POINT. 반복문 & range 함수 사용
[문제]
[문제 해석 & 풀이 ]
-
- range 함수
- range(n) → 0부터 (n-1) 까지 출력
- 예를들어, range(5) → 0~4 까지 출력 됨
- range(n,m) → n부터 m-1 까지 출력
- 예를들어, range(1,5) → 1-4 까지 출력 됨
- range 함수 & for 문 활용 : 팩토리얼 곱의 n *(n-1)* ... 을 해주기 위해 range 값을 돌아가며 출력
- range(1,number+1) → 1부터 number-1 까지 출력
- 할당된 숫자형 변수에 리스트 값을 곱해줌
- range 함수
number = 5
x=1 # 곱셈을 위해 1이 할당된 숫자형 변수 선언
for num in range(1,number+1): # 1 ~ number 값까지 돌아가며
x*=num # 값들의 곱을 저장
print(x)
➡️ FEEDBACK
- 연결된 숫자 출력시 range 함수 사용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실습 | 키오스크 코드 작성1 (리스트&딕셔너리 비교) (0) | 2024.11.28 |
---|---|
코테 준비 | 프로그래머스 각도기 (IF 문) (0) | 2024.11.27 |
파이썬 | 오류 메시지 해석하기 (1) | 2024.11.22 |
파이썬 | 예외 처리(EXCEPT) / 다른 파일 값 참조 및 가져오기(FROM - IMPORT) / IF,FOR 문 한 줄로 쓰기 (삼항 연산자) (0) | 2024.11.21 |
파이썬 | 튜플(TUPLE) / 집합 (SET) / F-STRING 사용하기 (1) | 2024.1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