📂조건문 (IF - ELSE -)
- 조건 만족 시 특정 코드 실행 시키는 문법
- 조건문 뒤에 콜론 필수 , 들여쓰기로 범위 한정 필수!
money = 1000 #변수선언
if money > 3800: #머니가 3800 일때
print('by taxi') #by taxi 출력 (위 조건문에 해당하는 출력값이므로 들여쓰기!
elif money > 1200:
print('by bus')
else:
print('on foot')
📂반복문 ( FOR - IN -)
- 리스트 값 같은 반복해서 출력해야 하는 값들을 한번에 실행 시키는 문법
- 반복문 뒤에 콜론 필수, 들여쓰기로 반복문 범위 한정 필수
fruits = ['apple','pear','grape','melon','lemon'] # 리스트 값
for f in fruits : # 반복문 변수 지정
print (f) # 반복문 출력 & 들여쓰기
📂조건문 & 반복문 활용 ( + 리스트/ 딕셔너리 변수)
- 딕셔너리에서 조건부 단일 값 출력하기 / 다중 출력 하기
people = [
{'name': 'bob', 'age': 20},
{'name': 'carry', 'age': 38},
{'name': 'john', 'age': 7},
{'name': 'smith', 'age': 17},
{'name': 'ben', 'age': 27},
{'name': 'bobby', 'age': 57},
{'name': 'red', 'age': 32},
{'name': 'queen', 'age': 25}
]
# 1. people 에서 age가 20보다 큰 사람의 name 출력하기
for person in people: # 반복문 변수 지정
if person ['age'] > 20: # age가 20보다 클 경우
print(person['name']) # name 출력
# 2. people 에서 age가 20보다 큰 사람의 name&age 출력하기
for person in people:
name = person['name'] # 이름 변수 지정
age = person['age'] # 나이 변수 지정
if age > 20: # 20보다 클때
print(name,age) # 나이/이름 출력
- 딕셔너리에서 특정 갯수 출력하기 ( enumerate - break 함수)
people = [
{'name': 'bob', 'age': 20},
{'name': 'carry', 'age': 38},
{'name': 'john', 'age': 7},
{'name': 'smith', 'age': 17},
{'name': 'ben', 'age': 27},
{'name': 'bobby', 'age': 57},
{'name': 'red', 'age': 32},
{'name': 'queen', 'age': 25}
]
# 순서대로 5개 이름 나이 출력 하기
for i, person in enumerate(people): # people 에 인덱스 0부터 시작
name = person['name'] # 이름&나이 출력홰야하므로 변수 선언
age = person['age']
print(i, name,age)
if i > 4: # 인덱스 4보다 클때 break 걸어줌 = 0~4까지 출력 총 5개 추출
break
- 리스트에서 특정 숫자 출력하기 (IF)
# 리스트에서 짝수만 출력
num_list = [1, 2, 3, 6, 3, 2, 4, 5, 6, 2, 4]
for even in num_list:
if even % 2 == 0: # 같을때는 == 사용 , 틀릴때는 != 사용
print(even)
- 리스트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갯수 출력하기 (COUNT)
# 리스트에서 짝수의 갯수 구하기
num_list = [1, 2, 3, 6, 3, 2, 4, 5, 6, 2, 4]
count = 0 # 카운팅 해줄 변수 선언
for num in num_list:
if num % 2 == 0: # 짝수일때
count = count+1 # count+=1 카운팅 1개씩 더해줌 # 조건을 만족할때 한개씩 카운팅 해줌
print(count)
- 리스트안에 있는 모든 숫자 더하기 (SUM)
num_list = [1, 2, 3, 6, 3, 2, 4, 5, 6, 2, 4]
sum=0 # 집계 해줄 변수 선언
for num in num_list:
sum = sum + num # 리스트에 있는 값들 순서대로 더해줌
print(sum)
- 리스트 안에 있는 자연수 중 가장 큰 값 구하기 ( MAX)
# 가장 큰 값 구하기
num_list = [1, 2, 3, 6, 3, 2, 4, 5, 6, 2, 4]
max=0
for num in num_list:
if max < num: # max가 num 보다 크면
max = num # max 값을 num 으로 바꿈
print(max)
📂함수 (DEF)
-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에 이름을 붙힌것 (= 함수를 내가 직접 생성해서 적용 하는 느낌)
- 연산 함수 활용
- 조건문 함수 활용
#1. 연산 함수 활용
def sum(a,b): # 변수이름은 아무거나 상관없음
return a+b # sum 함수는 a+b 연산한 값을 반환한다
result = sum(1,2) # 함수에 1와 2를 넣으면
print(result) # 3이 출력됨
#2. 조건문 함수 활용
def bus_rate (age) :# bus_rate 함수를 아래와 같이 정의하겠다.
if age > 65:`# age 가 65보다 크면
print('adult') #adult 출력한다
elif age >20:
print('kids')
else:
print('students')
bus_rate(15) # 정의한 함수의 값 출력시 프린트 필요없음
- 연습 문제
# 문제) 주민등록번호를 입력받아 성별 출력하는 함수 만들기
def check_gender(pin): # check_gender 라는 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
gender = pin.split('-')[1][0] # gender는 값을 0기준으로 나눈 후 2번째 구간의 1번째 값 추출
if int(gender) % 2 ==0: #짝수일때 '여성' 출력 but 주민등록 번호는 str 이므로 int 로 타입 변경
print('여성')
else:
print('남성')
check_gender('150101-1012345')
check_gender('150101-2012345')
check_gender('150101-3012345')
▼ split 함수는 아래 '문자열 슬라이싱' 컨텐츠 확인
TIL | 변수 / 문자열 / 슬라이싱 / List / Dictionary
📂 변수- Python에서는 변수에 값을 저장하여 출력할 수 있음 ( 파이썬은 사실 변수의 값이 저장된 메모리 위치를 출력하는 하는 것 )- 변수는 자료형, 숫자형 등 모든 형태 지정이 가능함name = "
cookievlog.tistory.com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| 리스트 안의 값 집계 하기 / 반복문에서 range 함수 활용 하기 (0) | 2024.11.22 |
---|---|
파이썬 | 오류 메시지 해석하기 (1) | 2024.11.22 |
파이썬 | 예외 처리(EXCEPT) / 다른 파일 값 참조 및 가져오기(FROM - IMPORT) / IF,FOR 문 한 줄로 쓰기 (삼항 연산자) (0) | 2024.11.21 |
파이썬 | 튜플(TUPLE) / 집합 (SET) / F-STRING 사용하기 (1) | 2024.11.20 |
파이썬 | 변수 / 문자열 / 슬라이싱 / List / Dictionary (0) | 2024.11.16 |